본문 바로가기

NSCA 스포츠 영양코치 (Advanced)/제 1장 소화와 흡수3

제 1장 소화와 흡수 - 3. 소화, 흡수 4. 흡수1) 능동적 확산  ATP소비O, 운반체O, 농도 경사 역행⦁ 소장 내강보다 영양소의 농도가 낮음.⦁ 영양소에 운반체가 동원되어 ATP를 소비하고 농도 경사를 역행하여 영양소가 운반됨.2) 수동적 확산 ⦁  영양소의 농도가 소장 내강보다 높아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농도 경사를 따라 확산.(1) 단순 확산 ATP소비X, 운반체X, 농도 경사 따름 ⦁  세포막을 통해 대체로 작고 비극성 분자 이동(2) 촉진적 확산 ATP소비X, 운반체O, 농도 경사 따름 ⦁  막단백질(운반체)을 통해 세포막 통과 불가한 물질 이동. 3) 흡수 경로(1) 문맥순환 간문맥(모세혈관) ⦁  탄수화물, 단백질, 짧은사슬~중간사슬 지방산, 수용성 비타민(B,C)은 간문맥을 통해 흡수되어 간으로 이동함.∴ 간문맥: 소화관에서 .. 2024. 12. 22.
제 1장 소화와 흡수 - 2. 소화액 2. 소화액 - 효소1) 타액(침) ⦁  무색 무취, 끈적한 성질①이하선(=귀밑샘) ⦁  가장 큰 침샘, 뺨 안쪽 점막에서 구강 앞쪽으로 침 분비②악하선(=턱밑샘) ⦁  두 번째로 큰 침샘, 아래턱 내면에 위치③설하선(=혀밑샘) ⦁  혀 밑에 위치, 점성이 풍부한 액 분비 ∴ 타액에 포함된 소화효소 ∴① 아밀라아제 ⦁  탄수화물 분해 효소. 탄수화물을 맥아당(=엿당, =말토스)과 덱스트린으로 분해.② 뉴클레아제 ⦁  핵산 가수분해 효소. 음식물 세포 조직 내 DNA파괴.③ 라이소자임 ⦁  소량존재, 세균 제거 2) 위액- 위샘(위 내벽에 분포)에서 분비되는 무색 무취의 소화액. 강산(pH1~2), 약간의 점성.① 주세포⦁ 소화액: 펩시노겐 ⦁ 기능: 단백질 소화효소 ② 부세포 ⦁ 소화액: IF(내적인자).. 2024. 12. 22.
제 1장 소화와 흡수 - 1. 소화기관(소화기계) 소화란?섭취한 식품을 분해하여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변화시키는 과정 흡수란?분해된 영양소들이 소화기계에서 체내로 이동하는 과정    * 소화기관- 소화관: 음식물이 통과하는 곳- 부속 소화기관: 효소와 호르몬을 분비하는 곳(소화액) 1) 소화기계(1) 소화관구강 - 식도 - 위 - 소장 (십이지장 - 공장 - 회장) - 대장 (맹장 - 결장 - 직장) - 항문(2) 부속 소화기관침샘, 간, 담낭(=쓸개), 췌장 등 2) 소화관의 운동(1) 저작운동(구강)소화과정의 첫 단계; 치아로 씹는 것 (2) 연하운동(식도)1단계: 수의적 운동, 음식물 뒤쪽의 돌림근육층이 수축하여 소화관 내의 음식물을 밀어냄2단계: 불수의적 운동, 음식물 앞쪽의 세로근육층(=세로근)이 수축하여 식도로 보냄3단계: 식도로 음식이 넘어.. 2024. 12. 18.